◈ 인화지의 분류 및 특성 ◈ 인화지의 이해 : 인화지는 필름과 마찬가지로 할로겐화 은을 감광유제로 사용한다. 필름은 바탕 재질이 플라스틱인 반면에 인화지는 종이인데, 보통 인화지는 5*7, 8*10, 11*14, 16*20 inch 등 다양한 크기와 매수로 시판된다.처음부터 무턱대고 아무 인화지나 사용을 하는것 보다 인화지의 특성 및 종류를 이해하고 인화작업을 하는것이 인화작업의 첩경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럼 분류방식에 따라 인화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a. 바탕재질에 따른 분류 (RC 인화지와 FB 인화지) 인화지를 가장 크게 구분한다면 RC(Resin-Coated)인화지와 FB(Fiber-Based)인화지로 나눌 수 있다. 인화지는 종이위에 유제를 발라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 종이(베이스 ..
■ 표준렌즈 (사각 45도 내지 60도) ○ 135 필름 = 50mm ○ 6×6cm 필름 = 75mm (80mm) ○ 2×3inch 필름 = 105mm ○ 4×5inch 필름 = 135mm (150mm) ○ 5×7inch 필름 = 210mm ○ 8×10inch 필름 = 300mm 인간의 시각과 거의 같은 표준적인 상태로 촬영되므로 기본적 촬영에 적합합니다. 인물, 풍경, 스냅, 정물 사진등에 무리없이 촬영되며 밝은 렌즈의 설계가 가능하여 광량이 부족한 어두운 곳에서 플래시 없이 촬영하여도 뛰어난 위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현재 개발된 표준렌즈의 밝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F1:2, F1:1.4, F1:1.2, F1:1 ■ 광각렌즈 (wide angle objective lens ; 단초점렌즈)..
HASSELBLAD 503CWD / ⓒ HASSELBLAD 디지털 백, 디지털 카메라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대중에게 알려진지 약 4~5년 중 디지털 백 이라는 단어가 수면위로 떠오른 적은 그다지 없었다. 사진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에게도 생소하거나 선망의 대상일 수 밖에 없던 디지털 백. 이것은 중형카메라, 혹은 대형카메라의 뒤에 장착하여 디지털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하는 장비인데 1999년 무렵의 초기 디지털 백은 3cm x 3cm 수준의 작은 CCD에 약 300~600만 화소를 가진 것이 고작이었다. 그렇다고 해도 당시의 디지털 카메라보다 월등이 높은 성능으로 고급 광고사진이나 대형 디지털 사진에 이용되었는데,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장비이니 만큼 가격 또한 어마어마 하며 2004년 이전에는 휴대성마저..
- Total
- Today
- Yesterday
- HASSELBLAD
- CIMdata
- Padi
- X1D II 50C
- XCD 45
- TYLER SHIELDS
- 자동차
- 아우디
- wine
- H6D-100c
- 마음
- X1D II
- Anna Devís
- scuba diving
- 좋은글
- 와인
- X1D-50c
- 투자
- 뉴스레터
- 사진
- Project Aware
- 스쿠버 다이빙
- X1D
- 핫셀블라드
- Daniel Rueda
- PLM
- AUDI
- 인생
- 스쿠버다이빙
- newslett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